목록FLUTTER (51)
Foggy day

이번 포스팅에서는 StreamController의 broadcas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ream 사용법 -2에서는 single listen을 사용했었습니다. 리스너를 한개만 붙여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StreamController에는 여러개의 broadcast를 이용해 여러개의 listen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StreamController.broadcast생성 2. Listener 추가 3. add, addStream 4. onListen, onResume, onPause, onCancel 5. 리스너 여러개 추가 5. close 실행 영상 1. StreamController 생성 여러개의 리스너를 사용하고 싶다면 생성할 때 broadcast 생성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final ..

이번 포스팅에서는 StreamControll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reamController는 stream을 구독할 수 있는 클래스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Stream을 사용해 데이터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StreamController는 이러한 Stream을 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StreamController 생성 2. Stream listen 3. button widget 4. add 5. addStream 6. onListen, onResume, onPause, onCancel 7. close 최종 영상 1. StreamController 생성 StreamController를 생성할 때 Stream의 데이터 타입을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예제에서..

Dart에서는 Future와 Stream으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trea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ream의 사전적인 의미는 흐르다는 뜻이며,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Stream을 사용한다면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흐름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1. Stream 함수의 구조 2. Stream 함수들 3. StreamBasic Widget 1. stream 함수의 구조 Stream에서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부분이 있고, 데이터를 받는 부분이 있습니다. 데이터 전달은 Stream 함수에서 하고, 데이터를 받는 것은 listen에서 합니다. 아래 코드를 보면 countStream이라는 Stream타입의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구조를 보면 Stream는 ..

이번 포스팅에서는 showModalBottomShe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howModalBottomSheet는 팝업과 유사하지만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형태의 팝업입니다. 1. 바텀시트 호출 2. 바텀시트의 특성들 3. 바텀시트와 Future 4. 바텀시트의 AnimationController 최종 동영상 1. 바텀시트 호출 먼저 바텀시트를 호출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바텀시트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showModalBottomSheet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context와 WidgetBuilder를 전달해야 합니다. showModalBottomSheet( context: context, builder: (context) { return Container( color: Colors..

이번 포스팅은 Navigator 사용법 1부에 이은 2부입니다. 1부를 안 보신 분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jinhan38.tistory.com/147 [Flutter] Navigator- 사용법(1부) 이번 포스팅은 Flutter Navigator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lutter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방법은 개발자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Flutter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Navigator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있 jinhan38.com 1부에서는 Navigator와 MaterialPageRoute를 사용하면서 페이지를 이동했습니다. 이번에는 사전에 경로를 지정해 놓고, 해당 경로를 입력해서 화면을 이동하는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1. MaterialApp 설정 2. pus..

이번 포스팅은 Flutter Navigator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lutter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방법은 개발자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Flutter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Navigator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Getx나 go_router를 사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Dart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워보고 추후에 기회가 되면 다른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Navigator사용법에 대한 설명은 길어질 것 같아서 1, 2부로 나눴습니다. Navigator를 상세하게 다루기엔 범위가 넓고, 코드 파악에만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때문에 간단한 개념과 사용법을 위주로 다루겠습니다. 1. Route와 Navigator 2. push, pop 3. pushReplacement..

이번 포스팅에서는 Flutter의 Constrain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lutter 개발자들은 작업을 하면서 overflow 에러를 자주 볼 것입니다. 그리고 특정 위젯이 원하는 위치와 사이즈로 그려지지 않아서 많은 시간을 낭비하기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간을 절약하고,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Flutter의 constraints 규칙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1. constraints의 핵심 2. Limitations 3. Tight vs loose constraints 1. constraints의 핵심 Flutter constraints의 핵심은 다음 문장입니다. Flutter의 위젯 트리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냐고 질문한다면 아래의 문장이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loatingActionButt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loatingActionButton은 Scaffold 위젯과 함께 사용합니다. 화면에 floating 한(떠있는) 버튼을 만들고, 이 버튼을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을 전환할 때 hero애니메이션을 추가할 수 있어서 다이내믹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1. 기본 사용법 2. 디자인 변경 3. hero 애니메이션 1. 기본 사용법 FloatingActionButto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caffold위젯이 필요합니다. Scaffold 위젯의 floatingActionButton 특성에 FloatingActionButton 위젯을 넘겨주기만 하면 됩니다.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면 우측 이미지 처럼 화면 오른..

이번 포스팅에서는 BottomnavigationBar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앱들에서 하단의 버튼을 사용해 페이지를 전환하는 U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기 때문에 Scaffold위젯과 BottomNavigationBar를 사용하면 손쉽게 해당 UI를 구현할 수 있게 구성돼 있습니다. 1. 기본 사용법 2. currentIndex, onTap 3. showSelectedLabels, showUnselectedLabels 4. 기타 특성들 1. 기본 사용법 우선 Scaffold위젯의 bottomNavigationBar 특성에 BottomNavigationBar 위젯을 넘겨줘야 합니다. BottomNavigationBar 위젯에는 BottomNavigationBarItem 클래스를 ..

이번 포스팅에서는 Scaffold 위젯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caffold 위젯은 대부분의 화면에서 가장 상위 레벨에서 사용하는 위젯입니다. 사실 Scaffold 위젯은 MaterialApp의 탑 레벨 위젯으로 사용되기 위해 고안된 위젯입니다. Scaffold 위젯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한 페이지에서 모두 다루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때문에 AppBar, BottomNavigationBar, FloatingActionButton, Drawer는 다른 글에서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https://jinhan38.tistory.com/126 [Flutter] AppBar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AppBar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AppBar는 대부분 Scaffold위젯과 함께 사용됩니다. 새로운 ..